
다양한 건축자재의 성능 실험 가능
건축 환경 기술 분야의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통해 건축 환경 시장을 선도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는 KCC에서 지난 12월 1일 개관한 ‘건축환경연구센터’는 총 50여 가지의 친환경 기술을 통해 화석에너지 사용과 이산화탄소 배출 등의 제로화 요소기술들이 적용된 건물이다. 특히 삼중복층유리창호와 진공단열 시스템, 지열 냉난방 시스템 등 친환경 기술 적용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해 약 83%의 에너지를 절감했으며 센터 운영에 필요한 17%의 에너지는 태양광 발전 등 신재생 에너지를 통해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.
KCC 건축환경연구센터는 친환경 및 고효율 에너지 요소기술을 적용한 그린 홈 및·그린빌딩의 최적성능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을 주목적으로 하면서 건축환경연구센터의 실험 데이터를 공유하는 등 건설업체 및 연구기관, 학계와의 긴밀한 협력 체제를 구축해 실증적인 현장 적용성 검증을 비롯해 경제적 효과 분석까지 실시하고 있다.
KCC 건축환경연구센터는 주거용 건물실험관, 상업용 건물 실험관으로 구성됐으며 이와 별도로 음향시험동, 단열 및 결로 시험동, 내풍압·내화 시험동으로 구성된 ‘시스템 성능 시험동’도 운영하고 있다. 이 시험동에서는 벽체 및 창호, 각종 천장재 및 천장재 시스템의 차음성능의 측정과 평가가 가능하며, 흡음재의 흡음 성능 평가도 가능하다.
주거용 건물 실험관과 상업용 건물 실험관의 주요 구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.
- 주거용 건물 실험관

1층 _ 제로 에너지 하우스 실험관
건축환경연구센터의 주택실험관 1층의 에너지 100% 절감 주택(제로 에너지 하우스) 실험관. 땅속 100~200m의 연중 온도인 약 15~17도의 열을 이용하여 히트펌프라는 장비를 통해 냉·난방 한다. 이 지열 시스템이 적용돼 있어 100%로 에너지 효율성을 높였다. 제로 에너지 하우스에서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집안 전체의 온도, 습도조절은 물론, Co2조절, 환기 등이 가능하다.
2~3층 _ 주거환경 실험실
2~3층은 주거환경 실험실로, 2층은 50% 에너지 절감, 3층은 20% 에너지 절감형으로 설계됐다. 이곳에서는 바닥 충격음 성능 실험, 벽제차음 성능 평가, 고단열 창호 에너지 소비 성능 평가, 외피 단열 시스템 성능 평가 등이 진행된다.
4~5층(3-R 실험관) & 6층
주택실험동 4~5층은 단열, 난방, 차음성 등의 시스템 품질평가 실험이 가능 3-R 실험관(Recycle, Re-duce, Reused)으로 운영된다. 이곳에서 진행되는 실험은 벽체 마감제 부착력 실험, 벽체 내수성 실험, 바닥 난방 시스템 성능 실험 등이다. 한편, 6층에는 태양으로 에너지를 생성하는 태양광(PV)발전 시스템이 설치돼 있다.
- 상업용 건물 실험관

1층 _ 홍보 및 전시실
시스템성능 시험동 1층에는 LCD 터치스크린을 이용해 실험동 전체를 소개하는 전시실이 마련돼 있다. 또한 건축환경 기술실험동에 적용된 요소기술이 모형과 판넬로 전시돼 있어서 한 눈에 기술들을 살펴볼 수 있다.
2~5층 _ 상업용 실험관
이 곳에서는 벽체 및 창호, 각종 천장재 및 천장재 시스템의 차음 성능의 특정과 평가가 가능하며, 흡음재의 흡음 성능 평가도 가능하다. 건축자재 및 구조체의 단열, 결로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첨단 실험 장비도 갖추고 있다. 창호재 대형 성능 시험 설비를 통해 창호의 기밀성, 수밀성, 내풍압성 등을 측정하고, 내화시험 설비에서 석고보드, 방화유리, 방화문 등 건축 부재의 내화성능도 지속적으로 평가할 계획이다.
이 뉴스클리핑은 http://windownews.co.kr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.